안녕하세요 저번에는 Shipping 프로세스를 진행해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다음 프로세스인 Billing에 대해서 실습해보려고 합니다.
Billing은 일반적으로 delivery 문서를 참고해서 생성합니다. N:N 관계로 생성이 가능한대 Payer, Billing date, Destination country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식품은 한달치 주문을 넣어놓고 상할 수 있으니 나누어서 받을 것입니다. 그럼 delivery 여러개 이지만 결국 동일한 지불자, 청구날짜, 거주나라가 동일하기 때문에 한번에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한번에 배송을 받긴 하지만 지불대금이 커서 여러번 나눠서 지불하기 위해 청구날짜를 쪼개는 경우 billing이 여러개 생길 수 있습니다.
서비스 업종에 경우 shipping 프로세스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오더주문을 가지고 빌링 생성하거나 빌링을 가지고 빌링을 생성도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빌링을 취소할 때 빌링캔슬을 위해 빌링을 가지고 빌링합니다.
billing 문서에는 billing date가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고객이 청구하는 날짜 그리고 그 날짜에 FI로 데이터가 넘어가면, 결산 때 전표와 비교하는 날짜이기 때문입니다.
billing을 하면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1. FI문서를 생성합니다. (채권, 매출, 세금)
2. CO모듈에 분석데이터를 전달합니다.
3. Sales order, delivery 문서 상태값을 업데이트합니다.
4. 여신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합니다.
*여신관리란 거래를 통해 고객에 신용도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불량 고객인 경우 거래제한을 걸 수도 있습니다.
SD모듈이 없이 자체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interface로 FI와 CO모듈만 사용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CO모듈에서 수익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billing은 사용한다고 합니다.
VF01은 단일처리 VF04은 다량처리 T-CODE입니다. 오늘도 실습을 위해 단일건 처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는 문서를 딜리버리, 오더, 빌링을 입력해줍니다. 저는 저번에 만든 delivery 문서를 입력했습니다!
[biling document overview] 를 누르시고 Goto > header, Item 에 가시면 더 다양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header에서는 billing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한 billing date와 cpmpany code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tem에서는 plant, division, stor.Lcation, 오더문서, 참고문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확인하시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billing이 완료됩니다.
문서흐름으로 Invoice와 FI 전표까지 생성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문서흐름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드리면 오더번호 조회(VA03), delivery 조회(VL03N), Billing 조회(VF03) T-CODE를 들어가셔서 아래 아이콘을 클릭해주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문서에서 헤더나 아이템 어디에 커서를 두냐에 따라서 문서흐름도 다르게 보입니다.
'VBFA' : 문서흐름 DATA가 저장된 테이블입니다.
문서흐름에 상태값은 다음문서가 생기기전 에는 'open' 이며, 다음문서가 생긴 후에는 'complet'로 바뀝니다.
Outbound는 billing 생성되어야 complet로 바뀝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Module > 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SD Customer Master data 무엇인가? (0) | 2021.11.15 |
---|---|
SAP SD에서 Master data 이란? (0) | 2021.11.11 |
SAP SD Goods issue 하는 방법 VL02N (0) | 2021.11.05 |
SAP SD Pinking 확정 처리 방법 LT12 (0) | 2021.11.04 |
SAP SD Picking 하는 방법 LT03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