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고객마스터에 이어서 자재마스터에 대해서 알아보고 자재도 한번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Material Master도 Customer Master와 동일한 구조로 여러 개의 view가 보여서 만들어집니다. 

 

자재 마스터는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마스터로 전모듈에서 사용하며 가장 많은 데이터를 유지보수하고 있습니다.  

 

자재하면 SD조직에서 Division과 연관이 있는데요 Material Master에는 반드시 하나의 Division을 가지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구조라는 것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의 Material를 여러개 Division을 가지길 원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자재마스터에는 입력해두지 않고 주문오더 생성시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 것이 가능한 이유는 Material은 division을 조직으로 가지지 않고 하나의 field로 가지기 때문에 자유롭게 입력이 가능합니다. 

 

 

자재 마스터 테이블에서 division이 필수값이 없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Division은 MARA 테이블에 field로 존재합니다. 

 

 

자재마스터는 MM01에서 생성합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은 MM03으로 가서 기존에 자재를 데이터를 보면서 field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Basic data tab

 - Division은 하나만 가질 수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Weight(무게)는 무게당 제품가격을 관리할 수도 있어서 중요합니다.  

 

Sales tab

 - Min. order qty 최소 주문단위 

 - Min. dely qty 최소 배달단위 

 - Base Unit of Measure 은 제품의 기본단위입니다. 그리고 Sales unit은 판매할 때 기본단위와 다르다면 입력해주면 됩니다.  입력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뜨면서 단위변환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 X-distr. chain status와 DChain-spec. status은 자재에 대한 상태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12'은 주문오더는 더이상 안받지만 이미 들어온 자재에 대해서 출고해주는 것입니다. 이 status는 img세팅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Valid from은 언제부터 적용할 지 정하는 필드입니다.

 - X-distr. chain status은 조직 관계없이 적용하는 것이고 DChain-spec. status은 해당 조직에 제품만 적용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Sales: General / Plant tab

 

 - Trnas. Grp은 운송시 제품을 옮기는 수단,도구입니다. ex) 팔레트, 오일통 

 - Loading Grp은 물건을 선적할 때 사용되는 수단입니다. ex) 지게차, 손

 

 

 - 제품에 대한 주의사항이나 참고내용을 작성하는 field입니다. 예를 들어 '깨질 수 있으니 주의' 같은 내용을요 이 내용은 출하지시할 때 팝업으로 띄울 수도 있고 delivery note에 명시할 수도 있습니다.

 

 

 - Valuation Classs은 MM에서 중요한대 재고감소(3100)와 같은 재고관리를 위해서 FI에서 총계정과목이 필요한대 총계정과목과 연결되는 필드입니다. 

 - Price control은 제조원가 유형을 결정하는 필드입니다. 아래 Moving price(V)와 Standerd price(S) 필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필드라고 이해하셔도 됩니다. 

 - Moving price은 우리말로 '이동평균'이라고 하며, 한번 입력해두면 자동으로 값이 업데이트가 됩니다.  FI에 있는 재고가치를 창고에 있는 N개로 나누어서 제조원가를 결정합니다. 주로 원자재를 파는 회사에서 사용합니다. 

 - Standard price은 CO모듈에서 작업공정(routing)에 비용평가를 통해 계산된 제조원가를 직접 입력합니다. 주로 완제품을 파는 회사에서 사용합니다. 

 

 - 주문오더에서 아래 동전모양 아이콘을 누르시면 가격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가 나옵니다. 그 중에서 Cost가 Material 마스터에 저장된 price 입니다.  근데 약간에 가격차이가 나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할인이 적용되서 그런거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  제조원가에 대한 마진(Profit Margin)도 나오는데 판관비가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기 때문에 완벽한 값은 아닙니다. 판관비는 판매가 모두 완료되어야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여기까지 Material Master와 필드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실제로 자재를 만들어보는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Module > 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SD Customer-Material info 생성 VD51  (0) 2021.11.22
SAP SD Material Master 생성 MM01  (0) 2021.11.19
SAP SD Customer Master data 무엇인가?  (0) 2021.11.15
SAP SD에서 Master data 이란?  (0) 2021.11.11
SAP SD Billing 하는 방법 VF01  (0) 2021.1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