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안녕하세요 샙린이 임대리 입니다. 

저는 샙린이라는 소개처럼 SAP에서 배우고 일하기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개발자입니다. 

그만큼 많이 부족하고 특히 모듈에 대해서는 정식으로 배운 적이 없어서 특히 더 그렇습니다.. 

하지만 독학으로 스터디나 인터넷, 해외강의 등을 통해서 공부한 내용을 이 블로그에 남겨볼까 합니다. 

저처럼 SAP를 막 시작하시고 컨설턴트까지 꿈꾸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저와 함께 한 계단씩 올라가보아요!

 

 아래 그림은 SD에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단순화시켜서 보여드리는 그림입니다. 이런 내용들이 쉽고 아시는 분들이 많아서 그냥 넘어가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숲을 볼 줄 알아야 나무를 안다는 격언처럼 전반적인 이론과 개념을 익히고 가셔야 나중에 SAP 시스템을 배우실 때 이해하기 수윌해질 것라고 생각되서 차근차근 위 단계별로 공부하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slideplayer.com/slide/5043888/

Pre-Sales Activites

사전 판매활동은 고객과의 관계를 맺고 관리하는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과 컨택이후 업무일지를 작성한다던가, 고객에게 메일을 발송하고 고객문의, 견적, 요건에 대한 지원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객관리가 중요해지면서 삼성 같은 경우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이라는 모듈이 별도로 있을 정도입니다. 혹은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에 경우 CS(customer Serive)이라는 모듈이 있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곳도 CS모듈이 별도로 있기도 하고 청약접수, 주문안내 문자/ 카톡 전송 정도만 관리하고 있습니다. 

 

*관련 T-CODE 

문의 - VA11, VA12, VA13

견적 - VA21, VA22, VA23

 

Sales Order Processing

기업에 따라 주문을 받는 형태가 모두 다릅니다. 예를 들어 콜센터, 오프라인사원에 의해 주문을 받거나 온라인, 키오스크와 같이 고객이 직접 받을 수도 있습니다. 기업끼리에 거래인 경우 문서를 통해 주문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문을 넣는 형태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공통적으로 반드시 들어가야할 정보는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판매오더에 들어갈 필수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고객과 자재 정보

2. 가격조건

3. 배송날짜, 수량

4. 배송정보

5. 청구정보 - 계좌정보

 

제가 있는 곳은 주문을 받는 형태는 여러 개긴 하지만 대부분 콜센터로 주문을 받아서 필요한 정보를 인트라에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스탠다드는 인트라에 입력된 정보로 자동으로 입력되서 처리됩니다. 

 

Inventory Sourcing

SAP에서 자동화 해주는 부분으로 재고에 대한 가용성체크를 해주는 단계입니다. 주문한 Materials 가 해당 물류센터에 있는지, 언제 배송이 될 수 있는지, 어떤 기사가 배송을 하는 지와 같은 결정을 정합니다. 이러한 정보의 관리는 MM모듈에서 하고 SD에서 주문의 대한 정보를 MM에 전달합니다. 그럼 MM은 재고에 따라 생산하거나 외주구매(PP)를 요청을 진행하여 약속된 날짜에 배송되도록 진행합니다.  

저희는 대형상품, 택배, 제품군, 지역, 판매조직, 우수고객 등에 따라 특정 물류센터를 지정해주거나 주말은 배송을 하지 않거나 우수고객에 대해 우선 배송해주거나 출고이후에 알림톡을 보내주는 것와 같은 다양한 요건에 따라 개발/운영하고 있습니다

 

*Material은 상품, 원자재, 제품, 완제품 등등 통칭하며 SAP에서는 type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Delivery / Shipping 

주문에 대해서 운송, 출하하기 위해 outbound deliveries 생성(출하지시), picking(창고에서 운송을 위한 이동),  packing(포장), Goods issue(GI: 출고) 단계를 거쳐서 처리됩니다. 출하지시와 출고는 필수지만 picking과 packing은 옵션으로 회사에 따라 추가하거나 뺄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GI은 다른 모듈에 여러가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MM모듈에서 상품을 출고를 했으니 재고감소를 체크하고 FI모듈에서는 재고자산 감소, 비용발생 전표를 생성합니다. 

 

Billing

재화용역에 대해 청구하는 단계입니다. 고객에게 비용을 청구하거나 돌려주거나 합니다. 그때 Credit or debit Memos 를 생성합니다. 청구를 취소할 수도 있습니다. 청구 데이터는 FI, CO모듈로 전달합니다. FI모듈에서는 매출, 채권, 세금에 대해 전표를 생성하고 CO는 수익성 분석에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주문시 고객에게 얼마가 청구되는지 취소하면 위약금을 얼마나가 나오는 지와 같은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Payment

청구서에 대해 고객이 지불하는 단계입니다. 일부상환시 차이금을 확인하거나 미납금에 대해서 향후 주문에 대한 신용도나 주문제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혹은 순주문확정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순주문확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주문이 완료되고 그 이후에는 여러 상황에 따라 양도양수, 교환, 반품, 등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봐주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반응형

'Module > 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학하기] SAP SD 프로세스 #3  (0) 2021.04.23
[독학하기] SAP SD 프로세스 #2  (3) 2021.04.22
[독학하기] SD 조직구조 #3  (4) 2021.04.08
[독학하기] SD 조직구조 #2  (0) 2021.04.02
[독학하기]SD 조직구조 #1  (0) 2021.03.31

+ Recent posts